해인사 대장경


 

김익택 

 





 

뼈보다 단단하고 피보다 진한

삶의 영혼으로 지탱한 세월

칠 백 년

좀 먹지 않고 썩지 않는 진리같이

바람이 씻어주고 닦아주고 있다

 

한 자 한 자 모여 팔 만 자

하나같이 삶의 진리 밝히는 글

 

세속 세계에서 영의 세계까지

흙이 되고 물이 되고

바람 되고 빛이 되어

사람의 정신이 되기까지

 

잠들어도 잠들지 않는 진리 글

가야산 자락에

바람으로 살고 빛으로 살고 소리로 살고

법고 소리로 살고

범종 소리로 살고 염불 소리로 살고 있다
















목탁 소리를 들으며

 


김 익 택




 

 

 

내 마음이 저 목탁처럼

맑았던 적 언제 한번 있었던가

엄마 아빠밖에 몰랐던 그때 아니면

죽은 뒤 기억 없는

업장소멸되는 뒤일까

 

내속에 오욕 다 버리고

텅텅 비워야 마침내 나는 소리

나에게도 있긴 있는 걸까

 

눈 앞에 서 있는

정신 맑은 사람 몰라봐도

저 멀리 예쁜 여자

눈 흘리는 일은

밥 먹듯이 하지 않았는지

 

먹이를 앞에 두고

으르렁대는 늑대처럼

나만 위해 독기 품은 날은

또 얼마나 많았는지 

 

비워야 거듭 맑아지는

저 목탁의 맑은 소리

언제 나는 낼 수 있을는지

이른 아침 맑은 날 허공이 더욱 깊다























연꽃의 비밀 이야기

 


김 익 택


 

 

 

 

 

 

가져 갈게요

훔쳐 갈게요

누가 뭐래도

 

햇살을 먹고 살찌우고

바람을 마시고 튼튼하게

책임과 의무 그것

 

그때까지

양심은 주머니 속에 넣어두고

진실은 안주머니에 숨겨두고

 

가슴에 씨앗 심겠어요

그래서 싹 돋고 꽃 피워서

열매 맺을 때까지




 





자기 극복

 


김 익 택



 

 

 

내가 나를 아끼는 일

내가 나를 사랑하는 일

내가 나를 아름답게 하고

 

내가 나를 고귀하게 하는 일

닦고 연마하고 꾸준히 노력하고

 

봄에는 신기한 새싹을 보고 꽃을 보듯

희망을 보고

 

여름에는 늘 푸름 성숙함을 보듯

푸름을 보고

 

가을에는 결실에 감사하듯

열매를 보고

 

그렇게

내가 아니어도 네가

우리가 아니어도 후손들을 위해

 











인간사 욕심은

 


김 익 택 

 

 



 

마음의 상상세계

요술방망이 램프요정

나 혼자 가지고 싶은 희망사항

 

이룰 수 있다면

진정 즐거운 삶일까

세상에 다시 없는

욕망 욕심 악인은 아니 될까

 

나에게 사랑 행복이

너에게 굴욕적인

아픈 삶이라면

그것 또한 지옥

 

인간사 윤리 끝없는 반성

끝없는 사랑 끝없는 희망

그런 삶

인간의 진리 탐구 아닐까











가을의 사신

 


김 익 택



 

 

 

 

 

 

저 어디 즈음  가을이 보낸

보이지 않는 눈이 있어

이 땅의 삶을 이롭게 하는

균형을 잃지 않도록

때로는 위엄을 때로는 위로로

자생력을 갖게 하고 있다

올 여름도 예년과 같이

추적추적 내리는 비가 때이른

가을을 재촉하고 있다










비 소리의 깊이

 


김 익 택



 

 

 

 

 

저 대지에 떨어지는 비 소리 깊이가

사랑을 잃은 숙녀

훌쩍이는 슬픔의 깊이로 보이네요

 

저 유리창에 흘러내리는 빗물이

흐려서 아픈 그림을 그리고

흘러서 슬픈 시를 쓰고 있네요

 

저 바다에 떨어지는 흔적 없는 빗방울은

내 안의 삶의 고통

수용하고 포용하고 용해해서

새 생명 탄생

 

하늘의 뜻 땅의 수용

삶의 진리

  그 뒷얘기 품고 있네요













































































창건기

법보종찰 가야산 해인사

창건기



해인사는 신라 의상대사의 법손인
순응(順應), 이정(利貞) 두 스님이
신라 제40대 애장왕 3년(802) 10월16일
왕과 왕후의 도움으로 창건 되었다.

해인사에 관한 종합적인 문헌으로 「가야산 해인사고적(伽倻山海印寺古籍)」이 있는데, 이는 해인사의 연기(緣起), 실화(失火)와 중창의 역사, 대장경의 인경(印經)에 관한 여러 사적과 문헌들을 모아 고종 11년(1874)에 판각한 것이다.


이 「가야산해인사고적」에 수록된 문헌가운데 똑같은 이름의 「가야산해인사고적」(고려 태조 26년에 이루어진 것)과 신라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신라가야산해인사선안주원벽기(新羅伽倻山海印寺善安住院璧記)」의 두 기록은 해인사의 창건에 대하여 비교적 소상하게 전해주고 있다.
  • 창사정신
  • 신라가야산해인사선안주원벽기
  • 가야산해인사고적

창사정신
해인사 창건의 참뜻은 해인(海印)이라는 낱말에 응집되어 있다.

해인이라는 말은 화엄경의 해인삼매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인삼매는 일심법계의 세계를 가르키는 말이며 부처님 정각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곧 있는 그대로의 세계, 진실된 지혜의 눈으로 바라본 세계, 객관적인 사상의 세계이니 바로 영원한 진리의 세계이다.
해인삼매는 또한 오염됨이 없는 청정무구한 우리의 본디 마음을 나타내는 말이며, 우리의 마음이 명경지수의 경지에 이르러 맑고 투명해서 있는 그대로의 세계가 그대로 비치는 세계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러한 모습을, 한없이 깊고 넓으며 아무런 걸림 없는 바다에 비유되어 거친 파도, 곧 우리들 마음의 번뇌망상이 비로소 멈출 때 우주의 갖가지 참된 모습이 그대로 물속에 비치는 경지를 해인삼매라 하였다.
이러한 여실한 세계가 바로 부처님의 깨달음의 모습이요, 중생의 본모습이니 이것이 곧 해인삼매의 가르침인 것이다.

청정도량 해인사, 이곳은 우리들 마음의 고향이다.

그래서 황량한 대지를 방황하는 현대의 이방인들을 다정한 고향의 손짓으로 부르고 있다.
팔만대장경, 높은 탑, 자연의 그윽함이 있다고 그런 것이 아니다.
해인삼매의 한 생각, 맑은 마음 그 거룩한 도량이 바로 해인사이기 때문이다.


  • 해인사 중창기
  • 「신라가야산해인사고적」에서 말한 해인사의 중창기

해인사 중창기

창건 이후 해인사의 중창에 관한 기록은 최치원이 쓴 「신라 가야산 해인사 결계장기(結界場記)」에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해인사는 창건 당시 터가 험하고 규모가 작았는데 약 100년이 지난 효공왕 1년(897) 가을 다시 중창할 것을 합의하고 90일 동안 참선한 뒤에 3겹의 집을 세우고 4급의 누(樓)를 올려서 사역을 확정하였다고 한다.

또한 해인사 중수에 관한 기록은 창건으로부터 130여년이 지난 고려 건국 초기의 『균여전』에 보인다.

이곳 기록에 의하면 해인사의 희랑(希朗)대사는 신라말 왕건을 도와 견훤을 물리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에 대한 대가로 경중봉사(敬重奉事)하여 전지(田地) 500결(結)을 시사(施事)하고 옛 사우(寺宇)를 중신(重新)하였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 고려 태조 때 해인사는 창건 이후 희랑대사에 의해 확장되고 새로워진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하였다.
그 때가 바로 930년 경이였다.

그 후 고려시대에 들어와 해인사는 균여(均如)대사, 대각(大覺)국사 등 많은 고승대덕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사우(寺宇)의 중수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실록을 보관한 일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조 2년(1393)에 정중탑을 중영(重營)하고 해인사는 여러 차례 중수를 한다.

이는 조선 왕실이 해인사에 힘을 기울인 결과라 생각된다.

특히 태조 때 고려대장경판이 해인사에 봉안 되었다.

태조실록 7년(1398)에는 강화에 보관되어 있던 대장경을 서울의 지천사(支天寺)로 옮겼다는 기록이 나오고 정종실록 원년(1399)에는 해인사에 대장경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태조 때 장경판이 해인사로 이운(移運)되고 이때부터 법보종찰로 유명하게 되었다.

또한 기록에 의하면 세조 3년(1458)에 임금이 죽헌(竹軒)에게 명하여 대장경 50벌을 인경(印經)하고 신미(信眉), 학조(學祖) 두 스님에게 장경판전을 시찰하게 하고 그 결과 보고에 따라 판고가 비좁고 허술하므로 경상감사에게 명하여 판전 40칸을 다시 짓게 하였다고 한다.
그 후 세조가 1468년 승하하자 정희(貞熹)왕후는 해인사를 중건하기 위한 원력을 세우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1483년 세상을 떠난다.
해인사가 현재의 규모로 확장된 시기는 대체로 성종 12년(1481)에서 21년(1490) 사이라고 본다.
성종 19년(1488) 덕종의 비 인수(仁粹)왕비와 예종의 계비 인혜(仁惠)왕비가 선왕의 뜻을 받들어 도목수 박중석(朴仲石) 등을 보내어 학조(學祖)대사로 하여금 판전 30칸을 짓게 하고 보안당이라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1490년까지 많은 전각과 요사 등 160여칸을 완성하여 사찰의 면모를 일신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들은 성종 22년(1491) 조위(曺偉)가 쓴 『해인사 중수기』에 기록되어 있다.

그 후 해인사는 임진왜란 때도 전화(戰禍)를 면했으나 그 후 여러 차례 화재를 입었다.
그 내용을 보면 아래와 같다.

  • 숙종 21년(1695) : 동쪽의 많은 요사와 만월당, 원음루 화재
  • 숙종 22년(1696) : 서쪽의 여러 요사와 무설전 화재
  • 영조 19년(1743) : 대적광전 아래 수백칸 당우 화재
  • 영조 39년(1763) : 화재
  • 정조 4년(1780) : 무설전 화재
  • 순조 17년(1817) : 수백칸 당우 화재
  • 고종 8년(1871) : 법성요 화재

이와 같이 1695년 이후 1871년까지 해인사에는 일곱 번의 큰 화재가 있었으나 판전 건물은 피해가 없었다.

해인사에서 비교적 오랜 건물은 대적광전, 응진전, 퇴설당, 구광루, 해탈문 등이며 대장경판전 외에는 모두 순조 17년(1817) 직후의 건물이고 나머지 건물은 훨씬 후의 건물들이다.


말사안내

말사안내 목록



산내암자안내

법보종찰 가야산 해인사

  • 고불암
  • 고운암
  • 국일암
  • 금강암
  • 금선암
  • 길상암
  • 백련암
  • 보현암
  • 삼선암
  • 약수암
  • 용탑암
  • 원당암
  • 지족암
  • 청량사
  • 홍제암
  • 희랑대
고불암
고불암
해인사 고불암은 가야산 자락의 해인사 부지 내에 있으며
해인사 말사 중 가장 높은 해발 900m에 법당이 위치하고 있다.
해인사 고불암 건축불사는 약 1년간에 걸쳐 한국의 유명사찰의 가람을 두루 섭렵한 후 이를 참고로 하여 부지 약 1만평, 건평 725평으로 2003년 7월에 토목기초를 착공하고 2004년 3월부터 본격적인 건축공사를 하여 같은 해 10월에 준공하여 해인사에서 공찰로서 운영하도록 해인사에 기부하여 해인사 재산으로 등록하였다.

본 사찰은 전통사찰식 목조건축물과 현대식 건축물이 함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전통사찰식 목조건물은 법당을 중심으로 양옆에 육화당, 벽안당이 있고 앞으로는 고불루가 있다.
육화당은 주지실, 접견실로 사용하며, 벽안당은 스님 요사채로 사용하고 있다.
현대식 건물은 반야당과 용선당이 있는바, 반야당은 1층 종무소로 2층은 스님들의 참선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용선당 1층은 공양실, 2층은 신도들의 숙소로 사용하고 있다.

대표전화 : (055)934-0127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Tel : 055-934-3000Fax : 055-934-3010

COPYRIGHT ⓒ HAEINSA. ALL RIGHTS RESERVED.




해인사를 일러 법보종찰이라 하는 것

고려대장경 곧 팔만 대장경이라고도 불리는 무상법보를 모시고 있는 까닭이다.

고려대장경을 흔히 '팔만 대장경' 이라고 하는 까닭은
대장경의 장경판수가 팔만 여장에 이르는 데에서 비롯되기도 했을 터이지만,
한편으로는 불교에서 아주 많은 것을 가리킬 때 팔만 사천이라는 숫자를 쓰는 용례대로
가없이 많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팔만 사천 법문이라고 하는 데에서 비롯되었음직하다.


대장경은 고려시대에 두 차례에 걸쳐 국가사업으로 간행되었다.


먼저 간행된 구판대장경은, 1011년에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거란의 침공을 물리치려는 발원에서 시작하여 1087년까지 무려 77년에 걸쳐 이루어진 것으로, 그 무렵으로서는 중국의 장경에 견주어 내용이 완벽한 것이었다.


그러나 팔공산 부인사에 봉안된 이 구판 대장경은 고종 19년인 1232년에 몽고군의 방화로 그만 불타 버리고 말았다. 그로부터 5년뒤인 1236년에 다시 본격적으로 대장경 간행 불사를 추진하여 1251년에 그 완성을 보게 되니, 16년에 걸친 이 큰 불사의 결실이 바로 지금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고려대장경이다.


대장경의 경판에 쓴인 나무는 산벚나무 등으로, 그것을 통째로 바닷물에 삼 년 동안 담 그었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대패로 곱게 다듬은 다음에야 경문을 새겼는데, 먼저 붓으로 경문을 쓰고 나서 그 글자들을 다시 하나하나 판각 하는 순서를 거쳤다.

대장경을 만드는 데에 들인 정성과, 한 치의 어긋남과 틀림도 허용하지 않은 그 엄정한 자세는 요즈음 사람들로서는 도저히 따라갈 수 도 없거니와 상상하기조차 힘든 것이었다. 곧, 글자를 한자씩 쓸 때마다 절을 한번 하였다고 하니, 그렇듯이 끝간 데 없는 정성을 들임으로써, 서른 명 남짓한 사람들의 솜씨로 쓴 무려 52,382,960개에 이르는 구양순체의 그 글자들이 한결같이 꼴이 아름답기도 하거니와 마치 한 사람이 쓴 듯이 일정하며, 한 글자도 잘못 쓰거나 빠뜨린 자가 없이 완벽한 장경을 이루고 있다.


경판의 마무리까지 세심하게 손을 본 이 대장경은 그 체제와 교정이 정확하고 조각이 섬세하고 정교하여서도 그렇지만,

이미 없어진 거란장경의 일부를 비롯하여 중국 대장경에는 없는 경전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도, 중국 최고의 대장경이라고 일컬어지는 만력판이나 또 후세에 만들어진 어떤 대장경도 따라올 수 없는 독보적인 빼어남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하여 고려대장경은 특히 근대에 만들어진 일본의 신수대장경을 비롯한 현대의 불교 대장경들의 으뜸가는 보기가 되기에 이르렀다.


대장경을 만들 무렵에 고려 왕조는 여러 차례에 걸친 오랑캐의 침입으로 말미암아 혼란에 빠져 있었다.

그런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임금과 귀족과 백성이 나라를 구하겠다는 한결 같은 마음으로 다시 이루어 놓은 것이 팔만 대장경이다.
오늘날 몇몇 경솔한 사학자들이, 칼과 창을 들고 오랑캐와 맞서 싸우는 대신에 대장경을 만들기에 힘을 쏟은 그때의 염원을 무기력한 시대사조로 그릇 되이 평가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대장경 간경 사업은 역사의 맥을 바로잡아 이어 가려는 민족의 염원이 그토록 간절하고 컸다는 것을 드러내는 민족 의식의 총화라는 데에서 그 의미가 빛나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세계 정신사의 산맥에 우뚝 솟아난 한 봉우리이기도 하며, 아울러 세계의 인쇄술과 출판물에 끼친 영향 또한 지대한 것이다.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림사  (0) 2020.07.25
마이산 탑사  (0) 2019.12.11
송광사의 봄  (0) 2019.05.19
개심사의 봄  (0) 2019.05.13
김해 혜은사  (0) 2019.03.12

+ Recent posts